바로가기
목차
하위 메뉴
- 정보통신 분야의 개인정보보호
-
- 개인정보보호 개관
-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개인정보보호 의무
-
- 정보주체의 자기정보 통제
- 개인위치정보의 보호
-
- 개인위치정보보호 개관
-
- 위치정보사업자 등의 개인위치정보 보호의무
-
- 위치정보주체의 자기정보 통제
-
- 긴급 시 개인위치정보의 이용
- 금융ㆍ신용거래 분야의 개인정보보호
-
- 개인신용정보보호 개관
-
- 신용정보회사 등의 개인신용정보 보호의무
-
- 신용정보주체의 자기정보 통제
- 교육 분야의 개인정보보호
-
- 교육 분야의 개인정보보호
- 보건ㆍ의료분야의 개인정보보호
-
- 보건ㆍ의료 분야의 개인정보보호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기관명 |
서비스명 |
발급사이트 주소 |
연락처 |
---|---|---|---|
NICE평가정보 |
나이스 아이핀 |
1588-2486 1600-1522 |
|
서울신용평가정보 |
사이렌24 아이핀 |
1577-1006 |




아이핀 관련 주요 궁금 사항 |
---|
<주민등록번호를 대신하는 본인확인수단, 아이핀> Q.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반드시 아이핀을 사용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아이핀은 주민등록번호 사용을 원치 않는 분들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원가입 방법이므로, 아이핀 사용이 번거로운 분들은 주민등록번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발급 비용> Q. 이용자가 아이핀 발급 비용을 부담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신원확인에 필요한 건당 수수료는 인터넷 사업자가 부담하므로 이용자는 무료로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외국인이 아이핀을 발급받는 방법> Q. 외국인도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있나요? A. 네, 「출입국관리법」에 따른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은 외국인은 주민등록번호 대신 외국인등록번호와 외국인등록증의 성명을 입력하고 신원확인을 받으면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을 할 때마다 아이핀 인증을 받아야 하는지 여부> Q.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할 때마다 아이핀 인증을 받아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아이핀 인증은 웹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할 때 본인확인을 위하여 한번만 받으면 되므로, 이미 회원가입이 된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할 때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하면 되고 아이핀 인증은 필요치 않습니다.
<주민등록번호로 회원가입이 되어 있는 경우 아이핀으로 바꾸는 방법> Q. 주민등록번호로 회원가입이 되어 있는데 아이핀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이미 주민등록번호로 회원가입이 되어 있다면 현재로서는 일단 그 사이트에서 탈퇴한 후 다시 아이핀 인증을 통해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다만 현재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아이핀 도입사이트와 협의하여 주민등록번호만 삭제하고, 기존 데이터와 아이디를 그대로 보유·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인터넷에서는 주민등록번호대신 아이핀’ 12-21면 참조> |
- 이 정보는 2021년 0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국민이 실생활에 필요한 법령을 쉽게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 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