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산업재해보상보험 개관
-
- 산업재해보상보험 개관
-
- 업무상 재해와 산업재해보상 보험급여
-
- 산업재해보상보험 법제 개관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 범위 등
-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 범위
-
- 산업재해보상보험 가입 및 보험료 징수
-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 특례
- 사고로 인한 업무상 재해
-
- 사고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
- 사고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구체적 인정기준
- 질병으로 인한 업무상 재해
-
- 질병으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
-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
-
- 진폐에 대한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
-
- 건강손상자녀에 대한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업무상 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ㆍ질병ㆍ장해 또는 사망을 말합니다.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로 질병이 걸리거나 그 질병으로 장해가 발생하거나 사망(고의ㆍ자해행위나 범죄행위 또는 그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경우는 제외함)하면 업무상 재해로 봅니다. 다만, 업무와 사고로 인한 재해(질병ㆍ장해 또는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相當因果關係)가 없으면 업무상 재해로 보지 않습니다.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로 질병이 걸리거나 그 질병으로 장해가 발생하거나 사망(고의ㆍ자해행위나 범죄행위 또는 그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경우는 제외함)하면 업무상 재해로 봅니다. 다만, 업무와 사고로 인한 재해(질병ㆍ장해 또는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相當因果關係)가 없으면 업무상 재해로 보지 않습니다.


















※ 인과관계 판단의 두 기준










※ ‘질병으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경우에는 근로자가 업무와 질병에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제34조에서는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을 두어 근로자의 인과관계 입증곤란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에서 설명합니다.








이 정보는 2023년 8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