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비를 받았는데 문제가 있어요.
자동차정비사업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등록해야하고, 그 종류에 따라 정비작업의 범위가 다릅니다.
자동차정비사업자는 정비 의뢰자의 요구 또는 동의 없이 임의로 자동차를 정비하지 않는 등 준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자동차정비사업자의 잘못된 정비로 하자가 발생한 경우 무상으로 수리 또는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정비사업자의 등록
※ 등록하지 않고 자동차정비사업을 하는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자동차관리법」 제79조제13호).

자동차전문정비업의 작업제한범위
자동차정비업의 종류
|
정비작업범위
|
자동차종합정비업
|
모든 종류의 자동차에 대한 점검·정비 및 튜닝작업
|
소형자동차종합정비업
|
승용자동차·경형 및 소형의 승합·화물·특수자동차에 대한 점검·정비 및 튜닝작업
|
자동차부분정비업
|
자동차전문정비업의 작업제한범위에 속하지 않는 구조·장치에 대한 점검·정비 및 튜닝
|
원동기전문정비업
|
자동차원동기의 재생정비 및 튜닝
|

자동차정비사업자의 금지 행위

자동차정비업자는 시장·군수·구청장의 승인 없이 자동차의 구조 또는 장치를 변경하거나 승인을 받은 내용과 다르게 변경하는 작업을 해서는 안 됩니다(
「자동차관리법」 제57조제2항).

정비에 필요한 신부품(新部品), 중고품, 재생품 또는
「자동차관리법」 제30조의5에 따른 대체부품 등을 정비 의뢰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알려줄 것

중고품 또는 재생품을 사용하여 정비할 경우 그 이상 여부를 확인할 것

점검·정비견적서(등록번호·견적일·견적내용 및 견적금액 등이 포함 돼야 함)와 점검·정비내역(등록번호, 점검·정비의뢰일, 점검·정비완료일, 점검·정비작업의 내용 등이 포함되어야 하고,
「자동차관리법」 제71조제2항 단서에 따라 주행거리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변경 사유, 해당 증명서 또는 확인서의 발급기관명, 발급일자 및 발급번호 등이 포함 돼야 함)의 기록 및 보존(견적일 또는 점검·정비완료일부터 1년까지)

점검·정비의 잘못으로 인하여 다음의 구분에 따른 기간중에 발생하는 고장 등에 대한 무상점검·정비
√ 차령 1년 미만 또는 주행거리 2만킬로미터 이내의 자동차 : 점검·정비일부터 90일 이내
√ 차령 3년 미만 또는 주행거리 6만킬로미터 이내의 자동차 : 점검·정비일부터 60일 이내
√ 차령 3년 이상 또는 주행거리 6만킬로미터 이상의 자동차 : 점검·정비일부터 30일 이내

거짓으로 점검·정비견적서와 점검·정비명세서를 작성하여 발급하지 않을 것

자동차정비업자의 준수사항을 위반할 경우의 제재

준수사항을 위반할 경우 시장·군수·구청장은 자동차정비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관리법」 제66조제1항제13호사목).

정비잘못으로 인한 하자 발생의 경우

정비잘못으로 인하여 해당부위 또는 관련부위에 하자가 재발한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 이내에 무상으로 수리를 해줘야 합니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고시 제2022-25호, 2022. 12. 28. 발령·시행) 별표 2 제48호 1)].
자동차의 조건
|
무상 수리 보증기간
|
차령 1년 미만 또는 주행거리 2만km 이내 차량
|
최종 정비일로 부터 3월(90일) 이내
|
차령 3년 미만 또는 주행거리 6만km 이내 차량
|
최종 정비일로 부터 2월(60일) 이내
|
차령 3년 이상 또는 주행거리 6만km 이상 차량
|
최종 정비일로 부터 1월(30일) 이내
|

정비의뢰 후 사업자의 보관상 과실로 인하여 벌과금 등이 소비자에게 부과된 경우에는 해당비용을 자동차정비업자가 보상해 줘야 합니다[「소비자분쟁해결기준」 별표 2 제48호 2)].

수리하지 않은 내용을 청구하거나 사전에 고지하지 않은 부분을 수리하여 수리비를 청구하는 경우에는 해당금액 청구를 취소합니다[「소비자분쟁해결기준」 별표 2 제48호 3)].

수리기간

정당한 사유의 통보 없이 약정한 날로부터 수리기간이 초과한 경우에는 초과기간에 대한 교통비 실비를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합니다[「소비자분쟁해결기준」 별표 2 제48호 4)].
※ 이때 수리기간은 차량수리의뢰계약서(견적서 등)에 기재된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소비자분쟁해결기준」 별표 2 제48호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