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차
하위 메뉴
- 디지털 성범죄 알아보기
-
- 디지털 성범죄의 뜻과 현황
- 디지털 성범죄의 유형 및 가해자 처벌
-
- 촬영물 이용
-
- 아동·청소년 대상
-
- 사이버 공간 내 성적 괴롭힘
-
- 가해자에 대한 처벌
- 디지털 성범죄 발생 시 대처방법 및 피해예방
-
- 대처방법 및 피해예방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 및 지원
-
- 피해자에 대한 보호제도
-
- 피해자에 대한 지원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피해 유형별 현황

(단위 : 건)
구분 |
합계 |
유포 |
불법 촬영 |
유포 협박 |
유포 불안 |
편집· 합성 |
사이버 괴롭힘 |
기타 |
2018 |
2,289 (100.0%) |
758 (33.1%) |
656 (28.7%) |
208 (9.1%) |
216 (9.4%) |
69 (3.0%) |
108 (4.7%) |
274 (12.0%) |
2019 |
4,114 (100.0%) |
1,213 (29.5%) |
1,043 (25.4%) |
354 (8.6%) |
557 (13.5%) |
144 (3.5%) |
273 (6.6%) |
530 (12.9%) |
2020 |
6,983 (100.0%) |
1,586 (22.7%) |
2,239 (32.1%) |
967 (13.8%) |
1,050 (15.0%) |
349 (5.0%) |
306 (4.4%) |
486 (7.0%) |
2021 |
10,353 (100.0%) |
2,103 (20.3%) |
2,228 (21.5%) |
1,939 (18.7%) |
2,660 (25.7%) |
176 (1.7%) |
533 (5.1%) |
714 (6.9%) |

√ 유포 : 피해 촬영물이 유포된 경우
√ 불법촬영 : 동의 없이 촬영된 경우
√ 유포협박 : 실제 유포 여부를 불문하고 협박이 이루어진 경우
√ 유포불안 : 유포에 대한 불안을 호소한 경우
√ 편집·합성 : 사진 등이 동의 없이 성적 촬영물과 합성된 경우
√ 사이버 괴롭힘 : 사이버 공간 내에서 성적 내용을 포함한 명예훼손이나 모욕 등이 행해진 경우
√ 기타 : 스토킹, 성폭력, 데이트폭력 등 기타 폭력
<출처 : 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21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2022. 4) 13, 36쪽 참조>
이 정보는 2023년 4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불편사항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