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장애인 교육 보호
-
- 장애인 교육권
- 특수교육 대상 및 과정
-
-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등
-
- 특수교육 교육과정 등
- 영유아 장애인 교육
-
- 3세 미만 영아의 특수교육 등
-
- 3세 이상 유아 특수교육
- 초등학생 이상 장애인 교육
-
- 초·중·고 대상 특수교육
-
- 성인 대상 교육 등
- 교육차별 금지 등
-
- 교육차별 금지 및 구제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다만, 장애영아의 건강 상태 및 교육과정의 운영상 필요한 경우에는 교육부장관, 교육감 또는 교육장의 승인을 받아 30일의 범위에서 줄일 수 있습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3조제1항 후단).

※ 서울특별시의 장애영아교실
서울지역의 장애영아교실은 만 3세 미만 특수교육대상자 중 센터로 배치된 장애영아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 있습니다(출처: 서울특별시 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참조).
구분 |
내용 |
지원 |
√특수교육지원: 특수교육지원센터 내에 있는 영아교실에서 개별화교육에 따른 특수교육 지원
√ 치료지원: 굳센(goodsen)카드 발급(치료기관은 교육지원청 승인기관에 한정함)
√가족지원: 장애영아 조기교육을 위한 부모상담 |
수업형태 |
√ 센터 방문교육
√통신교육
√체험교육
√1대1 수업 및 그룹형태의 수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 장애인복지카드(등록증) 소지자
√ 예외적으로 장애소견이 있는 의사진단서 또는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결과 통지서 제출자 가능(장애등록 외국인 중 난민 및 특별기여자, 재외국민 포함하나 재외국민 출국자는 제외) |
√ 장애아보육료: 인건비지원시설 58만 7천원, 인건비미지원시설 수납한도액
√ 장애아 방과후보육료: 12세 이하 등록장애아 또는 8세 이하 특수교육대상 취학아동 29만 8천원 |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