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메이크업샵 창업 준비
-
- 메이크업샵 창업
-
- 메이크업 면허취득
-
- 창업형태 결정 및 입지선정
-
- 영업시설 및 광고물 설치
- 메이크업샵 개업
-
- 사전 위생교육
-
- 영업신고
-
- 사업자등록
- 메이크업샵 운영
-
- 위생교육 및 위생관리
-
- 종업원 관리
-
- 고객 관리
- 메이크업샵 폐업
-
- 폐업신고 등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위생관리
시설·설비의 위생관리
메이크업 미용업자는 그 이용자에게 건강상 위해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영업관련 시설 및 설비를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해야 합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4조제1항·제4항).
의료기구와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화장 또는 미용을 할 것
미용기구는 소독을 한 기구와 소독을 하지 않은 기구로 분리해 보관하고, 면도기는 1회용 면도날만을 손님 1명에게만 사용할 것
미용사(메이크업)면허증을 영업소 안에 게시할 것
메이크업 미용기구의 소독
메이크업 미용기구의 소독기준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4조제4항제2호,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5조, 별표 3 및 「이용·미용기구별 소독기준 및 방법」(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86호, 2024. 5. 22. 발령·시행)].
기구명 |
위험도 |
소독 방법 |
▪ 라텍스 ▪ 퍼프 ▪ 해면 |
감염매체의 전달이나 자체 감염 우려 |
▪ 천을 이용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 ▪ 세척후 소독액에 10분 이상 담근 후 흐르는 물에 헹구고 물기를 제거 ▪ 자외선 소독 후 별도의 용기에 보관 |
브러쉬(화장·분장용) |
감염매체의 전달이나 자체 감염 우려 |
▪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 ▪ 세척제를 사용한 세척 ▪ 자외선 소독 후 별도의 용기에 보관 |
위반시 제재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위생관리의무를 위반한 메이크업 미용업자에 대해 즉시 그 개선을 명하거나 6개월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해 그 개선을 명해야 합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10조제2호 및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17조제1항).
시장·군수·구청장은 위생관리의무를 위반한 메이크업 미용업자에 대해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해 영업의 정지 또는 일부 시설의 사용중지를 명하거나 영업소폐쇄 등을 명할 수 있습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11조제1항제4호 및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17조제1항).
이를 위반해서 위생관리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22조제2항제2호).
※ 위생관리의무 위반에 따른 행정처분의 세부기준은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별표 7 Ⅱ 4.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생서비스수준의 평가
시·도지사는 메이크업샵의 위생관리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생서비스평가계획을 수립하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통보해야 하며, 시장·군수·구청장은 이에 따라 관할지역별 세부평가계획을 수립한 후 위생서비스수준을 평가해야 합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13조제1항·제2항).
위생서비스수준 평가는 2년마다 실시하되, 메이크업샵의 보건·위생관리를 위해 특히 필요한 경우에는 평가주기를 달리할 수 있습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13조제4항 및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20조).
위생관리등급 공표
시장·군수·구청장은 위생서비스평가의 결과에 따른 위생관리등급을 해당 메이크업 이용업자에게 통보하고 이를 공표해야 합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14조제1항).
메이크업 미용업자는 위생관리등급의 표지를 영업소의 명칭과 함께 영업소의 출입구에 부착할 수 있습니다(「공중위생관리법」 제14조제2항).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