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SMART 생활법률

qr코드 모바일
앱 다운로드

일과 가정생활

목차

하위 메뉴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근로시간 및 휴가권 보장
근로시간 및 연장근로의 제한 등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근로시간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다음에 따른 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50조제1항 및 제2항).
1주 간 근로시간: 40시간
1일 근로시간: 8시간
※ “1주”란 휴일을 포함한 7일을 말합니다(「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7호).
연장근로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위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53조제1항).
※ 연장근로 시간의 특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에 대해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에는 주(週)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59조제1항).
1. 육상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규제「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3조제1항제1호에 따른 노선(路線)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은 제외)
2. 수상운송업
3. 항공운송업
4. 그 밖의 운송관련 서비스업
5. 보건업
연장근로 등 급여 가산 지급
사용자는 연장근로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56조제1항).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해서는 다음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56조제2항).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50%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함)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56조제3항).
보상휴가제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연장근로·야간근로 및 휴일근로에 대해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줄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57조).
연차 유급휴가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연차 유급휴가 기간
사용자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2항).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유급휴가(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해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제4항 전단).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4항 후단).
휴가의 사용
사용자는 연차 유급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해서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5항 본문).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5항 단서).
연차 유급휴가는 1년간(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함)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되지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멸되지 않습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7항).
연차 유급휴가의 산정 특례
연차 유급휴가를 계산할 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봅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제6항).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임신 중의 여성이 출산전후휴가(규제「근로기준법」 제74조제1항 및 제2항) 및 유산·사산 휴가(「근로기준법」 제74조제3항)로 휴업한 기간
※ 육아휴직 후 연차 유급휴가 산정
Q.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 직장에 복귀했습니다. 아이가 아파 휴가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제가 사용할 수 있는 연차 유급휴가가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A. 기존에는 연차 유급휴가를 계산할 때 육아휴직을 사용한 기간을 출근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육아 친화적인 환경 마련의 일환으로 규제「근로기준법」 제60조가 개정되어 육아휴직 기간도 출근한 기간으로 인정받게 됐습니다.
즉,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라도 이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보고 연차 유급휴가 일수를 계산하기 때문에 육아휴직으로 인해 기존의 연차 유급휴가 일수가 줄어들지 않게 됩니다.
이 정보는 2024년 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오류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