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SMART 생활법률

qr코드 모바일
앱 다운로드

성범죄 피해자

목차

하위 메뉴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신고
성폭력 피해자는 경찰(☎ 112), 검찰(☎ 1301) 및 성폭력 관련 상담기관 등에 성폭력피해 사실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를 보호하거나 교육 또는 치료하는 시설의 책임자 및 관련 종사자는 자기의 보호 또는 감독을 받는 사람이 성폭력범죄에 해당하는 범죄의 피해자인 사실을 안 경우 이를 즉시 수사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성폭력 피해 사실의 신고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성폭력 피해 신고기관 및 연락처

구분

신고전화

인터넷 신고

경찰청

☎ 112

사이버경찰청

검찰청

☎ 1301

검찰청 온라인민원실

여성긴급전화

☎ 지역번호 + 1366

여성긴급전화 1366

성폭력피해상담소

전국 성폭력피해상담소 연락처

해바라기센터

전국 해바라기센터 연락처

미성년자 보호시설 책임자 등의 성폭력 피해사실 신고의무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성폭력 피해 신고의무
19세 미만의 미성년자(19세에 도달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미성년자는 제외함)를 보호하거나 교육 또는 치료하는 시설의 장 및 관련 종사자는 자기의 보호·지원을 받는 사람이 다음의 범죄피해자인 사실을 알게 된 때에는 즉시 수사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규제「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항).
친족관계에 의한 강간 등의 죄(「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5조)
장애인에 대한 강간·강제추행 등의 죄(「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6조)
13세 미만의 미성년자에 대한 강간, 강제추행 등의 죄(「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7조)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단체의 장과 해당 기관·단체 내 피해자 보호 관련 업무 종사자는 기관 또는 단체 내에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성폭력 사건이 발생한 사실을 직무상 알게 된 때에는 피해자의 명시적인 반대의견이 없으면 즉시 수사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규제「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2항).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죄(「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0조제1항)
업무상위력 등에 의한 간음죄(「형법」 제303조제1항)
※ 위의 성폭력 사건이 발생한 사실을 신고하지 아니한 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규제「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38조제2항제1호).
이 정보는 2024년 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오류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