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정보 펼치기

입양

목차

하위 메뉴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홈 
> 생활법령 > 입양

화면 내 검색

화면 내 검색

본문 영역

  • 가정법률 : 입양: 일반양자 파양

    조회수: 20258건   추천수: 5934건

  • 재혼한 남편의 아이를 일반양자로 입양하여 제 아이로 키우던 중 남편과 이혼하게 되었습니다. 아이를 파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남편과 이혼한 경우에는 배우자 일방이 단독으로 협의에 의해 파양할 수 있고, 파양 신고를 함으로써 파양의 효력이 생깁니다.
    ◇ "파양"의 의의
    ☞ “파양”이란 입양성립 후에 발생한 원인으로 양부모와 양자의 친자관계를 해소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 양부모와 양자의 친자관계는 입양 당사자의 사망만으로 해소되지 않고, 파양에 의해서만 해소됩니다.
    ◇ 파양 협의
    ☞ 우리판례는 당사자인 양친이 부부인 때에는 부부의 공동입양의 원칙에 비추어 파양의 경우에도 공동으로 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양친의 일방이 사망하였거나 이혼한 경우에는 일방이 단독으로 파양할 수 있습니다.
    ◇ 파양 신고
    ☞ 파양은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 파양의 신고를 하면,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 파양의 효과
    ☞ 파양을 하면 입양으로 발생한 친족관계는 종료됩니다. 따라서 양자의 신분에서 발생했던 양친과의 사이의 법률효과(친권관계, 부양관계, 상속관계 등)는 소멸합니다.
새소식 상세 내용
관련생활분야

입양 > 입양의 무효ㆍ취소ㆍ파양 등 > 파양 > 일반양자의 파양

관련법령

「민법」 제776조, 제878조, 제898조, 제903조, 제904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