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
- 크기
목차
하위 메뉴
- 해고근로자 개관
-
- 해고근로자 개관
-
- 해고근로자 법제 개관
- 해고의 의의와 유형
-
- 해고의 의의
-
- 해고의 유형
- 해고 사유의 제한
-
- 해고 사유의 제한
- 해고 시기와 절차의 제한
-
- 해고 시기의 제한
-
- 해고 절차의 제한
- 부당해고 구제
-
- 부당해고 구제 개관
-
- 지방노동위원회에 의한 부당해고 구제(초심)
-
- 중앙노동위원회에 의한 부당해고 구제(재심)
-
- 법원에 의한 부당해고 구제(행정소송)
-
- 해고무효확인의 소(민사소송)
- 해고근로자 보호
-
- 사용증명서 발급 및 취업방해금지 등
-
- 임금, 퇴직금 등 지급
- 해고근로자 지원
-
- 실업급여
-
- 실직자 지원제도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근로/노동 :
해고:
징계해고
조회수: 15102건 추천수: 4231건
-
- “징계해고”란 무엇인가요?
-
“징계해고”란 근로자의 행태상 사유에 따른 해고를 말합니다.정당한 징계해고 사유가 없거나, 징계권을 남용하였거나,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해고는 무효가 됩니다.◇ 행태상 사유☞ 징계해고에서 행태상 사유는 일반적으로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규정되는데, 근로제공의무를 위반하거나 기업에 대한 충실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등으로 기업의 경영질서에 부적격한 경우를 말합니다.☞ 구체적인 행태상 사유를 예시로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① 무단결근을 한 경우② 불성실한 근무를 한 경우③ 인사명령, 업무명령을 위반 한 경우④ 이력서를 거짓으로 기재한 경우⑤ 횡령, 배임 등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경우⑥ 유죄판결을 받은 경우⑦ 폭언, 폭행 등을 한 경우⑧ 위법한 조합활동을 한 경우⑨ 회사 및 상사에 대한 비방을 한 경우⑩ 위법한 쟁위행위를 한 경우⑪ 사생활에 비행이 있는 경우◇ 해고 사유☞ 사용자는 근로자를 정당한 이유(근로자의 행태상 사유)없이 해고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정당한 해고 사유 없는 징계해고를 당한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징계권(징계 양정) 남용☞ 해고할 만한 사유가 아닌데도 징계 양정을 과도하게 하여 해고한 경우에는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가 됩니다.☞ 대법원은 근로자에게 징계사유가 있어 징계처분을 하는 경우 어떠한 처분을 할 것인가는 징계권자의 재량에 맡겨진 것이지만징계권자가 재량권의 행사로서 한 징계처분이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어 징계권자에게 맡겨진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그 징계처분은 위법하여 무효라고 합니다.◇ 해고 절차☞ 사용자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 해고 예고를 해야 하고, 단체협약·취업규칙에서 정한 해고절차 규정을 지켜야 합니다.☞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를 하지 않은 해고는 효력이 없습니다.☞ 대법원은 해고 예고를 하지 않은 해고는 유효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단체협약·취업규칙에서 정한 해고절차 규정을 위반한 해고는 절차상의 하자가 치유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무효라고 보고 있습니다.
관련생활분야 | |
---|---|
관련법령 |
|
관련정보 |
[대법원판례]대법원 2004. 6. 25. 선고 2002다51555 판결 [대법원판례]헌법재판소 2001. 7. 19. 선고 99헌마663 결정 [대법원판례]대법원 1991. 7. 9. 선고 90다8077 판결 |
-
근로/노동 :
해고:
해고의 유형
조회수: 12921건 추천수: 4091건
-
- 해고는 통상해고, 징계해고, 정리해고는 어떤 기준에 따라 구분하나요?
-
“해고”란 근로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해고의 종류해고는 근로자의 일신상 사유에 의한 “통상해고”, 근로자의 행태상 사유에 의한 “징계해고”, 사용자의 경영상 이유에 인한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정리해고)”가 있습니다.◇ 통상해고☞ 근로자의 일신상 사유를 이유로 한 해고를 말합니다.☞ “일신상의 사유”란 근로계약의 이행에 필요한 정신적·육체적 또는 그 밖의 노무수행 적격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사정이 근로자에게 발생하여 근로자가 자신의 지위에 요구되는 업무를 충분히 감당할 수 없게 된 경우를 말합니다.◇ 징계해고☞ 근로자의 행태상 사유를 이유로 한 해고를 말합니다.☞ “행태상 사유”란 일반적으로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규정되는데, 근로제공의무를 위반하거나 기업에 대한 충실의무를 위반한 경우 등 기업의 경영질서를 해친 경우를 말합니다.◇ 정리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사용자가 긴박한 경영상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하는 해고를 말합니다.☞ 사용자가 “경영상 이유”에 의해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①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어야 하고, ② 해고를 피하기 위한 노력을 다해야 하며, ③ 합리적이고 공정한 해고 기준을 정하여 해고 대상자를 정해야 합니다. 또한 ④ 해고를 하려는 날의 50일 전까지 근로자 대표에게 통보하고 성실하게 협의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요건을 모두 갖추어 해고한 경우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는 해고를 한 것으로 봅니다.
관련생활분야 |
해고근로자 > 해고의 의의와 유형 > 해고의 유형 > 통상해고(일반해고) |
---|---|
관련법령 |
「공정인사지침」 |
관련정보 |
[대법원판례]대법원 1993. 10. 26. 선고 92다54210 판결 |
내용과 무관한글, 광고성 글, 상호 비방, 법적 책임을 동반할 수 있는 글은 참여자등의 보호를 위하여 임의 삭제됩니다.
- 이 정보는 2018년 1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국민이 실생활에 필요한 법령을 쉽게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 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